도서관 경영계획은 적용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유형화할 수 있습니다. 계획이 적용되는 시간적 범위에 따라서는 단기계획과 중장기 계획, 내용적 범위를 기준으로 하면 부문계획과 종합계획, 개념적 구조 및 속성을 구분기준으로 삼으면 실행계획과 전략적 계획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도서관 단기계획과 중장기 계획
일반적으로 短期計劃은 회계연도에 적용하거나 완료할 예정인 부문계획 내지 실시계획을 의미한다. 학술지 구독, 장서점검과 평가, 자료실별 리모델링, 개가제 운영, 모바일 서비스, 상호 대차 및 원문제공서비스 등이 단기계획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中長期計劃은 통상 년 이상에 적용되는 계획입니다. 더 세분하면 1~5년까지가 중기계획, 그 이상이 장기계획입니다. 도서관의 중장기 계획은 유용한 경영정보를 수집하고 의사결정 과정을 개선하며, 가용자원을 효율적으로 배정하고, 환경변화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를 대표하는 사례로는 도서관 신축과 증축, 통합정보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축, 디지털 장서개발, 기관 레포지터리 구축, 주제관 설립 등을 비롯한 기본(종합) 계획이나 발전계획을 들 수 있습니다.
2. 도서관 부문계획과 종합계획
部門計劃은 중간관리자의 주도 하에 기능별 및 요소별로 수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자는 장서개발과(팀)의 회색문헌 수집이나 디지털 장서개발, 자료정리과의 서지DB 품질관리나 학술정보의 원문DB 구축, 정보서비스과의 무인대출기 설치나 서가 이동작업 등이 대표적이며, 후자에는 부서별 하부조직의 개편, 소속직원 재교육 방안, 웹DB 이용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그리고 관장의 포괄적 계획기능에 해당하는 綜合計劃의 사례로는 중장기 발전방안, 주제별 분관화, 학술연구정보망 구축, 디지털 보존계획 등을 들 수 있습니다.
3. 도서관 실행계획과 전략적 계획
도서관의 實行計劃은 기능이나 업무단위를 중심으로 수립하는 실천적 계획을 말합니다. 가령 서가 재배치, 자료분류를 위한 특별규정 마련, 서비스 매뉴얼 작성, 학술지 제본, 파오손 자료 수선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戰略的 計劃은 새로운 서비스 환경을 조성하거나 학내외 환경변화에 적극 대처함으로써 비교우위의 역량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계획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형화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의 대다수 계획에는 상술한 여러 유형이 혼재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각각의 성격이나 내용이 중첩되기 때문입니다.
부언하면 단기계획은 대개 부문계획과 실행계획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중 장기 계획은 종합계획에 해당하며 전략적 계획으로 수립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부문 계획은 주로 단기간 실행되는 계획인 반면에 종합계획은 중장기에 걸쳐 적용되므로 미래지향적 전략이 가미되는 것이 상례이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디지털 藏書開發은 부분계획이지만, 단기에 종료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중략적 접근에 무게를 둡니다. 完全開架制 運營은 단기계획에 속하지만 조직개편, 인력 및 공간의 재배치를 수반하므로 종합계획이며, 이용중심주의를 지향하는 전략적 계획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행계획 차원에서 主題別 分館化를 추진할 경우에는 건물 또는 공간확보, 자료이관, 인력 재배치가 불가피하므로 중장기적으로 완료해야 하는 종합계획에 해당합니다. 한편, 신축은 소요기간, 시설공간 시설계획, 자료이관, 조직개편, 직무 재 분장 등을 감안할 때 중장기 종합계획이며, 특히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미래를 대 비한 전략적 계획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댓글